법무부로부터 허가를 받은 순수민간 피해자지원 단체
"(사)한국피해자지원협회(KOVA)”

언론보도

일요시사] <긴급기획> 세월호 의문의 침몰 ③역대 대형참사 총정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KOVA 댓글 0건 조회 6,085회 작성일 15-04-20 16:19

본문

 
[일요시사=사회팀] 이광호 기자 = 여객선 세월호가 전남 진도 해상에서 침몰돼 300여명에 가까운 사망·실종자가 발생했다. 이 비극을 접한 국민들은 비통함에 빠졌다. 국가적 패닉상태인 것이다. 그동안 국내에서 일어난 대형 인명피해 사고는 어떤 것이 있을까.
 
[창경호 침몰]
 
창경호 침몰 사고는 1953년 1월9일 전남 여수항을 출발해 부산항으로 향하던 정기 여객선 창경호가 부산 서남쪽 8km쯤에 위치한 다대포 앞바다 거북선 부근에서 강풍을 만나 침몰한 사고다. 당시 승선인원 236명 중 선장과 선원 3명, 중학생 2명, 군인 1명을 제외하고 229명 모두가 익사했다. 이후 창경호는 구명보트 한 척 및 구명복 70벌을 모두 본사 창고에 두고 다닌 것이 국회 특별조사단의 조사로 드러났다.
 
 
[여객선 연호 침몰]

연호 침몰 사고는 1963년 1월18일 여객선 연호가 전남 목포시 허사도 앞 해역에서 침몰한 사건이다. 여객선 연호는 목포항을 20분 남겨두고 극심한 북서돌풍과 동방향의 횡파로 본선을 강타당해 선체가 완전히 침몰했다. 이 사고로 생존자 1명을 제외하고 140명 전원이 사망했다. 연호는 전남 해남군 황산면 연호리간을 운행하는 정기 여객선으로 사고 당일 승객의 정원인 86명을 초과해 141명과 곡물류 150가마를 실어 무리하게 항해하다 사고를 당했다.
 
 
[와우아파트 붕괴]
 
와우아파트 붕괴 사고는 1970년 4월8일 서울 마포구 청천동에 위치한 와우지구 시민아파트 5층 15동이 무너진 사고다. 당시 붕괴로 33명이 사망하고 40명이 부상하는 인명피해를 입었다. 이후 붕괴의 원인은 비리로 밝혀졌다. 무면허 건설업자가 산 중턱에 아파트를 지었는데, 이것은 당시 김현옥 시장이 자신의 업적을 나타내기 위함이었다. 문제는 건설허가를 따내기 위해 쓴 뇌물로 인해 공사자재를 아낀 것이었다. 철근 70개를 넣어야 튼튼하게 유지될 기둥에 고작 5개의 철근을 넣을 정도로 부실공사를 진행해 결국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낳았다.
 
[여객선 남영호 침몰]

남영호 침몰 사고는 1970년 12월14일 승객 338명과 감귤을 싣고 서귀포항을 출항해 부산항으로 향하던 중 다음 날인 15일 대마도 서쪽 해상에서 선체가 갑자기 기울어져 전복돼 침몰한 사고다. 이 사고로 323명이 사망했다. 사고 원인은 적재량을 초과한 과적, 항해 부주의, 긴급신호 발신 후 신속하지 못한 대처 등으로 인한 전형적인 인재였다.
 
 
[대연각호텔 화재]
 
대연각호텔 화재 사고는 1971년 12월25일 서울 중구 충무로 소재 22층 건물 대연각호텔에서 일어났다. 당시 163명이 사망하고 53명이 부상당했다. 당시 사고의 원인은 1층에 있는 LPG가스가 폭발한 것으로 밝혀졌다. 객실에서 탈출하지 못한 150여명의 외국인은 질식사했고 7명은 신원확인이 불가능했다. 대연각호텔 화제는 세계 최대의 호텔 화제로 기록돼 있다.
 
 
[서울시민회관 화재]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는 1972년 12월2일 지금의 세종문화회관자리에서 일어났다. 당시 화재로 51명이 사망하고 76명이 부상을 당했다. 당시 서울시민회관에서는 문화방송 개구11주면 10대 가수 청백전 공연이 끝나고 관객이 밖으로 나오고 있었다. 그리고 펑하는 소리와 함께 무대 위 조명장치가 터지면서 시작됐다. 원인은 전기 과열로 인한 합선이었다. 이후 6년 뒤, 화재가 있던 자리에 세종문화회관이 지어졌다.
 
 
[해군 YTL 침몰]
 
해군 YTL 침몰 사고는 1974년 2월22일에 발생한 선박 사고다. 당시 해군 신병 103명, 해경 50명, 실무요원 6명 등 모두 159명이 순직했다. 당시 해역에는 최대풍속 18m의 강풍이 불어 높은 파도가 일었고, 기온마저 영하 20도까지 떨어져 있었다. 마침 풍랑 주의보를 접하고 항구로 피항하던 어선들이 달려와 구조작업에 나섰지만 인명피해를 피할 수 없었다. 이 사고는 평시 해난사고 중 세계 해군 사상 가장 많은 인명 손실을 낸 대참사로 꼽힌다.
 
 
[청량리 대왕코너 화재]

청량리 대왕코너 화재 사고는 1974년 11월3일, 현재 청량리 롯데백화점 자리에 있던 7층짜리 대왕코너 건물에서 일어났다. 이 화재로 88명이 사망했다. 당시 불은 건물 6층에서 시작됐다. 조명 전기 합선으로 튄 불꽃이 튄 것이다. 이후 종업원들의 안전 불감증이 여론의 질타를 받은 바 있다.
 
 

[이리역 폭발]
 
이리역 폭발 사고는 1977년11월11일 전북 이리시(현 익산시)의 이리역(현 익산역)에서 발생했다. 최악의 철도사고로 손꼽힌다. 당시 폭발로 사망 59명, 부상자는 1343명에 달했다. 당시 인천에서 광주로 가던 한국화약의 화물 열차는 정식 책임자도 없이 다이너마이트와 전기 뇌관 등 40t의 고성능 폭발물을 싣고 이리역에서 출발 대기하던 중 폭발사고를 냈다. 사고의 원인은 어둠을 밝히기 위해 밤에 켜 놓은 촛불이 화약상자에 옮겨 붙은 것이었다.
 
 
[747기 피격]
 
대한항공 보잉 747기 피격 사고는 1983년 9월1일 미국 뉴욕 존F.케네디 국제공항을 출발해 행커리지를 경유한 뒤 김포국제공항으로 오던 대한항공 소속 007편 여객기(보잉747-230B)가 비행 중 소련 상공에서 소련 공군 소속 수호이 15의 공격을 받아 사할린 서쪽에 추락해 탑승자 전원이 숨진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래리 맥도널드 미국 민주당 하원 의원을 포함한 16개국 269명에 달하는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 비무장 여객기에 대한 소련의 격추 사건으로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다.
 
1993년 292명 사망한 서해훼리호 사고
1995년 502명 사망한 삼풍백화점 붕괴
 
 
[707기 폭파]
 
대한항공 보잉 707 공중폭파 사고는 1987년 11월29일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출발한 대한항공 858기가 인도양 상공에서 북한이 파견한 공작원에 의해 공중 폭파된 사건이다. 당시 테러로 115명이 사망했다. 이후 남북관계가 악화됐고 북한은 2008년 9월까지 미국의 테러 지원국 명단에 올랐다.
 
 
[서해훼리호 침몰]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는 1993년 10월10일 전북 부안군 위도에서 여객선 서해훼리호가 침몰한 사고로 292명의 사망자를 냈다. 피해자 대부분은 섬 지역에서 살던 주민들이었다. 사고 원인은 초과한 승객 수였다. 승객을 너무 많이 태운 나머지 시체가 무리지어서 발견되는 등 인명피해가 심각했다. 당시 언론은 죽음의 신이 여객선을 유혹하는 장면의 풍자만화를 싣기도 했다.
 
 
[성수대교 붕괴]
 
성수대교 붕괴 사고는 1994년 10월21일에 서울 한강에 위치한 성수대교에서 상부 트러스가 무너졌던 사고다. 이 사고로 32명이 사망했고 17명이 부상당했다. 당시 성수대교 제 5·6번 교각 사이 상부 트러스 약 50m가 붕괴하면서 달리던 승합차 1대와 승용차 2대가 현수 트러스와 함께 한강으로 추락했고, 붕괴되는 지점에 걸쳐 있던 승용차 2대도 마찬가지였다. 가장 큰 붕괴 원인은 불안한 트러스식 공법이었다. 이 공법은 잘못되면 무너지기 쉬운 공법이었다. 뿐만 아니라 안정 시공인 이음새 핀 등의 세부 요소들을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하는데, 이러한 안전점검 조치를 소홀히 했다.
 
 
[대구 도시가스 폭발]
 
대구지하철 1호선 도시가스 폭발 사고는 1995년 4월28일 대구 지하철 1호선 제 1∼2구간 공사장에서 발생한 폭발사고다. 당시 폭발음과 함께 50m의 불기둥이 치솟았다. 이 사고로 학생 42명을 포함해 101명이 사망했고 202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는 역대 세계 지하철 참사 가운데 사상자 규모로 3위에 오르는 대참사였다.
 
 
[삼풍백화점 붕괴]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는 1995년 6월29일 삼풍백화점 건물이 무너지면서 1445명의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당시 사망자는 502명, 부상자는 937명이며 6명은 실종됐다. 피해자 중 최명석씨 11일, 유지환씨 13일, 박승현씨가 17일 동안 갇혀 있다가 극적으로 구조됐다. 붕괴 원인은 설계하는 도중 설계팀이 설계도면을 변겅하는 바람에 기둥을 더 작게 줄인 데서 비롯됐다. 애초에 사무실 용도로 건물을 지으려 했던 것도 문제였다.
 
[B747-300기 추락]
 
대한항공 B747-300기 괌 추락 사고는 김포국제공항에서 출발한 801편이 미국 괌에 있는 앤토니오 B.원 팻 국제공항에서 착륙에 실패하면서 추락해 225명이 사망했고 29명이 부상당한 사고다. 당시 사고 원인은 무성했지만 블랙박스 해독 결과 공항관제시스템의 결함에 의한 것으로 판명났다.
 
 
[대구 지하철 방화]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는 2003년 2월18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방화로 일어난 화재사고다. 이로 인해 192명의 사망자와 21명의 실종자 그리고 151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당시 전동차는 모두 불타고 뼈대만 남아 있었다.
 
 
[천안함 침몰]
 
천안함 침몰 사고는 2010년 3월26일에 백령도 해상에서 해군 초계함인 PCC-777이 침몰된 사건이다. 당시 침몰로 해군 수병 40명이 사망했고 6명이 실종됐다.
 
 
[해병대 캠프 실종]

해병대 캠프 실종 사고는 2013년 7월18일 충남 태안군 안면도에서 열린 사설 해병대 캠프에 참가했던 공주대사대 부설고 학생들이 구명조끼를 벗고 바다로 들어가라는 교관의 지시를 따르다가 깊은 갯골에 빠진 뒤 그중 5명의 학생들이 파도에 휩쓸려가 실종돼 사망한 사건이다.
 
<khlee@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